728x90 반응형 SMALL TIL & WIL & 회고록/WIL4 8월 1주차 WIL - 라이프사이클, React hooks 이번주에 배운 내용은 LifeCycle과 리액트 hooks에 관한 내용이다. 라이프사이클(클래스형 vs 함수형), React hooks 리액트의 컴포넌트는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예전에는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해서 주로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사용했다. 현재는 리액트팀에서 함수형 컴포넌트로 바꾸라고 하는 추세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LifeCycle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React Hook을 사용한다. 하지만, 아직도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있으므로, 유지보수를 위해 클래스형 컴포넌트에 대해 알고 있어야한다. 클래스형 컴포넌트 import React, {Component} from 'reac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const na.. 2022. 8. 7. 7월 4주차 WIL - 리액트 State, Props, 리렌더링 발생조건 State 컴포넌트 내부에서 변경될 수 있는 값이다. 리액트에 존재하는 state의 종류는 2가지다. 클래스형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state 함수형 컴포넌트가 useState라는 함수로 사용하는 state 컴포넌트 내부에서 변경하고 싶은 값이 있을 때, state를 활용하면 된다.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state state의 초기값을 설정할 때 constructor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아래와 같이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this.setState 함수 사용 시, 인자로 객체 대신 함수를 넘겨줄 수도 있다. setState로 state의 값을 변경한 다음, 다른 특정한 작업을 하고자 할 때에는 setState의 두 번째 파라미터에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를 등록하면 된다. 함수.. 2022. 8. 2. 7월 3주차 WIL - JavaScript의 ES란? ES5/ES6 문법 차이 JavaScript의 ES란? 개념 ECMA스크립트(ECMAScript, 또는 ES)란, Ecma International이 ECMA-262 기술 규격에 따라 정의하고 있는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한다. 자바스크립트를 표준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액션스크립트와 J스크립트 등 다른 구현체도 포함하고 있다. ECMA스크립트는 웹의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로 많이 사용되며 Node.js를 사용한 서버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에도 점차 많이 쓰이고 있다. 역사 1996년 3월, 넷스케이프에서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 2.0을 출시하면서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웹 페이지 동작을 향상시키는 언어로서 자바스크립트의 성공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이와 "적당히" 호환되는 J스크립트를 개발하는 계기가 .. 2022. 7. 24. 7월 2주차 WIL - about JWT & API , 미니프로젝트 JWT, API 탐구하기 JWT JSON 웹 토큰(JWT)은 선택적 서명 및 선택적 암호화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표준으로, 페이로드는 몇몇 클레임 표명을 처리하는 JSON을 보관하고 있다. JWT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단 쿠키, 세션, 토큰에 대해 알아야 한다. 1. 쿠키 서버는 쿠키를 이용해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넣어 기억한다. 사이트(ex. google)에 방문하면 브라우저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이에 응답을 한다. 이 응답에는 모든 데이터와 내가 찾던 페이지 정보가 있을텐데 그곳에는 브라우저에 저장하고자 하는 쿠키가 있을 수 있다 브라우저에 쿠키를 저장한 후,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할 때마다 브라우저는 해당 쿠키도 요청과 함께 보내게 된다 ▶ 쿠키의 특징 - 쿠키는 도메인에 따라 제한.. 2022. 7. 1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