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TIL & WIL & 회고록29 2022.08.06 / 리액트 Todolist 뷰 만들기 리액트 심화주차 시작하고 나서 오늘이 이틀째다 어제는 리덕스 툴킷, 미들웨어 공부를 했는데 오늘은 빠른 진도를 위해서 Todolist Upgrade 버전의 뷰를 만들었다 4명이서 각각 CRUD를 나눠서 진행하였다 2시간 정도 오류 찾느라 고생했다 콘솔에 아무것도 안찍히구... 터미널도 성공했는데.... 왜 안나오는지 계소오옥 혼자 찾아보다가 나중에 매니저님이 다른 일로 오셨는데, 그 때 그 오류에 대해 물어봤는데..... 알고보니 변수네임이 컴포넌트 네임과 같아서 무한루프가 걸렸다는..... 꼼꼼히 잘 확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2022. 8. 7. 2022.08.05 / 리액트 주특기 심화주차 시작 주특기 리액트 마지막 심화주차가 시작되었다. 이번주는 React toolkit, json-server, Axios, Thunk, React Hooks: optimizing, Custom hook, 마지막 배포까지!! 많은 것을 배울 예정이다. 오늘은 Redux Toolkit과 json-server에 대해 공부했는데, Redux를 공부했지만 Toolkit이 축약형이라 더 어려웠다. json-sever를 설치하고 3001포트를 보여주는 명령어를 썼었는데, 에러 떠서 찾아보니까, yarn을 명령어 앞에 붙여주지 않아서 그랬다고 한다... 내일은 오늘 보다 더 집중력 있게 공부할것이다. Thunk에 대해 더 이해해보자!!! 그리고 학습자료 다 보는게 내일의 나의 목표다!!!! 좋은 팀원들과 다함께 으쌰으쌰!!!.. 2022. 8. 6. 2022.08.04 / useRef와 툴킷의 장점 매니저님이 개인적으로 내주신 숙제 두가지를 했다. useRef는 언제 쓰는지, 리액트 툴킷의 장점을 찾아보았다. useRef useRef를 쓰면 안되고, 이 경우에는 let으로 선언을 해줘야한다!! useRef로 관리하는 값은 바뀌어도 컴포넌트가 리렌더링이 되지 않는 특징 때문에 이렇게 변수를 선언하면 다음 리렌더링 될 때 그 변수 값은 초기화된다. // id 값 오류 해결 **let nextId = 0;** const Form = () => { const [title, setTitle] = useState(''); const [content, setContent] = useState(''); const dispatch = useDispatch(); const handleInputTitle = (e) =.. 2022. 8. 5. 2022.08.03 / 리액트 Todolist 프로젝트 추가 내용 어제 코드리뷰를 통해 추가가 필요한 내용을 구현했다. Todolist에서 제목과 내용을 쓰지 않은 경우에 alert를 띄워주는 부분을 추가했다 ID가 초기화되는 것은 아직 이유를 찾지 못했다 그래서 매니저님의 자문을 얻어 useRef에 대해서 왜 초기화가 되는지 찾아보기로 했다 내일 할 것 - useRef 조사 - react toolkit의 장단점 조사 - 리덕스 관련 내용 tistory 정리하기 - 리액트 강의 듣기! 2022. 8. 4. 2022.08.02 / 리액트 Todolist 완성 드디어!!! Redux, Router를 이용한 Todolist를 완성했다 깃허브 주소는 아래에 ↓ https://github.com/suzzeong/Todolist2 투두리스트 프로젝트 할 때 오류가 뜨는 경우의 대부분은 코드는 잘 구성했는데.. 오타가....ㅎㅎㅎ 꼼꼼하게 잘 체크해야하는데 그 부분이 아직 부족한거 같다ㅜㅜ Readme 작성하려니까 어떻게 써야할지 몰라서 찾아본 블로그 설명이 잘 나와있다~! [Git] GitHub README 작성법 (마크다운, 이미지, Gif, 코드 블록 사용법) (tistory.com) 내일 CS스터디 발표가 있고, 마지막 팀과제 마무리 하는 작업이 남아있다 그리고 리액트 툴킷 공부를 더 해야겠다 오늘은 특별히 TIL을 일찍 써봤다~!! 2022. 8. 2. 7월 4주차 WIL - 리액트 State, Props, 리렌더링 발생조건 State 컴포넌트 내부에서 변경될 수 있는 값이다. 리액트에 존재하는 state의 종류는 2가지다. 클래스형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state 함수형 컴포넌트가 useState라는 함수로 사용하는 state 컴포넌트 내부에서 변경하고 싶은 값이 있을 때, state를 활용하면 된다.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state state의 초기값을 설정할 때 constructor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아래와 같이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this.setState 함수 사용 시, 인자로 객체 대신 함수를 넘겨줄 수도 있다. setState로 state의 값을 변경한 다음, 다른 특정한 작업을 하고자 할 때에는 setState의 두 번째 파라미터에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를 등록하면 된다. 함수.. 2022. 8. 2.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 LIST